고객센터

데스크탑 A/S

02-3272-1003

업무시간 : 10:00 ~ 17:00 (토,일,공휴일 휴무)

점심시간 : 13:00 ~ 14:00

노트북,태블릿 A/S

02-3272-1003

업무시간 : 10:00 ~ 17:00 (토,일,공휴일 휴무)

점심시간 : 13:00 ~ 14:00

주변기기 A/S

02-3272-1002

업무시간 : 10:00 ~ 17:00 (토,일,공휴일 휴무)

점심시간 : 13:00 ~ 14:00

전자칠판,전자교탁 A/S

02-3272-1003

업무시간 : 10:00 ~ 17:00 (토,일,공휴일 휴무)

점심시간 : 13:00 ~ 14:00

PC방 A/S상담

070-7595-7137

업무시간 : 10:00 ~ 17:00 (토,일,공휴일 휴무)

점심시간 : 13:00 ~ 14:00

prenext

FAQ

[제품(모니터)] 모니터의 오버드라이브(응답속도) 란? (No.7 , 2757c , 3257 , No.9 ,2233V od 설정)

2020-10-30


"오버드라이브(overdrive)"란? 패널에 전력을 더 세게 걸어서 응답속도를 끌어올리는 걸 말합니다. CPU의 오버클로킹과 비슷한 기술이라고 보면 됩니다. 요즘 모니터들은 어느 정도 이 오버드라이브를 이용하긴 하는데, 너무 과하면 화질에 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적절한 수준이 필요합니다. 이 응답속도는 어떤 기준으로 재는 걸까요? 보통 2가지 방식이 있습니다. BtoW와 GtoG입니다. BtoW는 픽셀이 검정에서 흰색으로 바뀌는 데 걸리는 시간을 말합니다. 그러니까 액정이 완전히 열린 상태에서 완전히 닫히는 데까지 걸리는 시간, 혹은 반대로 닫힌 상태에서 완전히 열리는 시간 말입니다. 기계적으로는 신호가 상승하는 시간을 재는 겁니다. 실제로 그렇게 화면이 움직이는 경우는 많지 않기 때문에 픽셀이 변하는 데 가장 오래 걸리는 시간을 잰다고 보면 됩니다. 요즘은 BtoW 대신 GtoG를 더 많이 씁니다. G는 회색(grey)을 말합니다. 밝은 회색에서 어두운 회색으로 넘어가는 시간을 재는 겁니다. 대개 10% 밝기에서 90% 밝기로 넘어가는 과정을 잽니다. 왜 2가지 방법이 섞여 쓰일까요? 이유는 간단합니다. 더 빠른 숫자를 만들어내기 위해서입니다. 요즘 모니터의 1ms, 2ms 같은 경우는 거의 GtoG입니다. GtoG는 BtoW에 비해 픽셀이 움직이는 과정이 짧기 때문에 시간도 적게 걸립니다. 반대로 흰색에서 검은색으로 신호가 떨어지는 속도를 재는 WtoB도 있고, 검은색에서 흰색을 찍고 다시 검은색으로 내려오는 완전한 하나의 주기를 재는 BtoB도 있습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GtoG가 대세로 쓰입니다. <출처:블로터 홈페이지>


 

 -----------------------------------------no.7 (2757,3257,no9)모니터 1ms OD 설정은 어떻게 하나요?-----------------------------------

 

 

기본값은 off(12ms) 상태이며 4단계 응답속도 설정 ( high 1, middle 4, low 8, off 12ms)변경으로 조절이 가능합니다


_ 첨부된 메뉴얼참조

 

 

ULTRON 2233V OfficeMaster 오버드라이버 설정 방법(OD)

 

모니터 OSD 매뉴

 

OD ON : 5ms

OD OFF : 11ms

 

 

 

  해쉬태그 : ( #GTG #OD #오버드라이브 #응답속도 #ms #overdrive #No.7 #3257 #2757 #no.9 #1ms #2233v #2233 )